건강칼럼
H > 건강정보 > 건강칼럼
제목
"고용량 비타민 D 요법, 낙상 예방 효과 無…권장섭취량 재설정 필요해"
근육주사 및 경구 고용량 비타민 d 요법이 골절이나 낙상의 예방에 효과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를 통해 고용량 비타민 d 요법이 오히려 낙상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지며, 비타민 d 섭취에 대한 새로운 개념과 정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대학원장 명승권 교수는 1992년부터 2021년까지 국제 학술지에 발표된 15건의 임상시험을 메타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낙상 위험 낮춘다는 비타민 d…연구의 흐름은비타민 d는 장으로부터 칼슘과 인의 흡수를 촉진하고, 신장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증가시켜 혈중 칼슘 및 인의 적정 농도를 조절한다. 이로써 뼈의 건강과 면역체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타민 d가 부족하면 골다공증이나 골연화증을 초래해 골절이나 낙상의 위험과 자가면역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비타민 d는 전 세계적으로 결핍된 이들이 많다고 알려졌다. 병원에서 혈중 비타민 d 농도가 낮다는 결과를 받고, 고용량 비타민 d 요법을 받는 이들도 적지 않다. 하지만, 연구의 흐름은 이와 다르다. 최근까지 발표된 임상시험결과를 보면 일반 용량의 비타민 d 보충제는 골밀도 개선이나 골절 예방에 효과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용량의 비타민 d 요법이 오히려 골절이나 낙상의 위험을 높인다는 임상시험 보고도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명승권 대학원장은 고용량 비타민 d 요법과 골절낙상 사이의 연관성을 살피기 위한 메타분석을 시행했다.고용량 비타민 d, 골절낙상 예방 효과 없어메타분석 결과, 간헐적 혹은 일회성 근육주사 및 경구 고용량 비타민 d 요법을 받은 사람은 위약을 사용하거나 아무 처치를 하지 않은 사람과 비교했을 때 골절이나 낙상의 빈도에 차이가 없었다. 반면, 비타민 d 종류 중 육류나 생선 등 동물에서 얻을 수 있는 비타민 d3를 사용한 경우 오히려 낙성의 위험성을 6%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은 고용량 비타민 d 요법이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 이유로 ‘고칼슘혈증’을 꼽았다. 고용량 비타민 d 투여가 고칼슘혈증으로 인한 골감소 및 근육약화, 활성형 비타민 d 농도의 감소 등을 초래해 낙상의 위험을 오히려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보충 필요 없어…새로운 권장섭취량 개념정의 필요명승권 대학원장은 “전문학회, 기관, 병의원별로 혈중 비타민 d 농도를 20 혹은 30ng/ml을 정상으로 삼고 있는데, 이는 상위 2.5% 내에 해당하는 과도하게 높은 농도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12~20ng/ml에 해당하며 이 범위 수준에서 골절 등의 질병이 높아진다는 근거는 불충분하다”고 꼬집었다.명 대학원장은 무분별한 비타민 d 검사와 보충에 경계해야 한다고 말하며 “일반적으로 비타민 d 검사나 보충은 필요하지 않으며, 뼈 건강을 위해 하루에 10분 이상 햇볕에 노출해 비타민 d 합성을 늘릴 것”을 조언했다. 이어 “규칙적인 운동과 함께 비타민 d가 들어 있는 등푸른생선류나 버섯류 등의 섭취를 늘리면 충분하다”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현재의 비타민 d 권장섭취량은 과도하게 높기 때문에 권장섭취량의 새로운 개념과 정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4월, scie 국제학술지인 ‘국제골다공증(osteoporosis international)’에 온라인 출판됐다.

낙상 위험 낮춘다는 비타민 d…연구의 흐름은비타민 d는 장으로부터 칼슘과 인의 흡수를 촉진하고, 신장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증가시켜 혈중 칼슘 및 인의 적정 농도를 조절한다. 이로써 뼈의 건강과 면역체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타민 d가 부족하면 골다공증이나 골연화증을 초래해 골절이나 낙상의 위험과 자가면역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비타민 d는 전 세계적으로 결핍된 이들이 많다고 알려졌다. 병원에서 혈중 비타민 d 농도가 낮다는 결과를 받고, 고용량 비타민 d 요법을 받는 이들도 적지 않다. 하지만, 연구의 흐름은 이와 다르다. 최근까지 발표된 임상시험결과를 보면 일반 용량의 비타민 d 보충제는 골밀도 개선이나 골절 예방에 효과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용량의 비타민 d 요법이 오히려 골절이나 낙상의 위험을 높인다는 임상시험 보고도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명승권 대학원장은 고용량 비타민 d 요법과 골절낙상 사이의 연관성을 살피기 위한 메타분석을 시행했다.고용량 비타민 d, 골절낙상 예방 효과 없어메타분석 결과, 간헐적 혹은 일회성 근육주사 및 경구 고용량 비타민 d 요법을 받은 사람은 위약을 사용하거나 아무 처치를 하지 않은 사람과 비교했을 때 골절이나 낙상의 빈도에 차이가 없었다. 반면, 비타민 d 종류 중 육류나 생선 등 동물에서 얻을 수 있는 비타민 d3를 사용한 경우 오히려 낙성의 위험성을 6%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은 고용량 비타민 d 요법이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 이유로 ‘고칼슘혈증’을 꼽았다. 고용량 비타민 d 투여가 고칼슘혈증으로 인한 골감소 및 근육약화, 활성형 비타민 d 농도의 감소 등을 초래해 낙상의 위험을 오히려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보충 필요 없어…새로운 권장섭취량 개념정의 필요명승권 대학원장은 “전문학회, 기관, 병의원별로 혈중 비타민 d 농도를 20 혹은 30ng/ml을 정상으로 삼고 있는데, 이는 상위 2.5% 내에 해당하는 과도하게 높은 농도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12~20ng/ml에 해당하며 이 범위 수준에서 골절 등의 질병이 높아진다는 근거는 불충분하다”고 꼬집었다.명 대학원장은 무분별한 비타민 d 검사와 보충에 경계해야 한다고 말하며 “일반적으로 비타민 d 검사나 보충은 필요하지 않으며, 뼈 건강을 위해 하루에 10분 이상 햇볕에 노출해 비타민 d 합성을 늘릴 것”을 조언했다. 이어 “규칙적인 운동과 함께 비타민 d가 들어 있는 등푸른생선류나 버섯류 등의 섭취를 늘리면 충분하다”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현재의 비타민 d 권장섭취량은 과도하게 높기 때문에 권장섭취량의 새로운 개념과 정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4월, scie 국제학술지인 ‘국제골다공증(osteoporosis international)’에 온라인 출판됐다.